진료안내

Home > 진료안내 > 입원형 호스피스 > 입원환자교육

입원형 호스피스

말기환자증상교육

통증
통증은 왜 생기는 걸까요?
  • 암으로 인해 뼈, 신경, 다른 장기 등이 눌리거나 손상되었을 때
  • 수술, 방사선요법, 항암화학요법 등의 치료에 따른 부작용이 있는 경우
  • 그 외 욕창, 구내염과 같이 질병 및 치료와 무관한 경우

이러한 통증들의 대부분은 전문가에 의해 약물요법과 비약물요법으로 충분히 조절될 수 있습니다.

약물요법으로는
비마약성 진통제, 마약성 진통제, 진통보조제 등을 사용함

비약물요법으로는
심호흡과 이완요법, 찜질이나 마사지 등이 통증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음악을 듣거나 텔레비전을 보는 것과 같이 통증으로부터 주의를 환기 시키는 방법도 효과가 있습니다.

통증의 적극적인 표현

통증을 치료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통증에 대해 의사나 간호사에게 자세히 말하는 것입니다.

  • 어디가 아픈지 말씀해주세요
  • 어떻게 아픈지 말씀해주세요
  • 얼마나 심하게 아픈지 말씀해주세요
  • 어떻게 하면 더 아픈지 또는 덜 아픈지 말씀해주세요
  • 하루 중 얼마나 자주 얼마나 오랫동안 아픈지 말씀해주세요
  • 진통제의 효과가 있는지 말씀해주세요
마약성 진통제 투약방법

마약성 진통제는 약효 지속시간에 따라 서방형과 속효성 2가지로 나눕니다.

  • 서방형 진통제 : 약효가 천천히 나타나서 오랫동안 지속되는 약입니다. 지속적인 암성통증에는 서방형 진통제를 일정한 시간 규칙적으로 복용합니다.
  • 속효성 진통제 : 약효가 빠른 시간 안에 나타나지만 지속시간은 짧은 약입니다. 속효성 진통제는 갑작스레 나타났다 사라지는 돌발 통증에 수시로 사용합니다.

따라서 암성 통증 조절을 위해서는, 서방형 진통제를 일정하게 복용, 속효성 진통제는 돌발 통증이 있을 때 수시로 복용해야 합니다.

진통제 효과 그래프
마약성 진통제에 대한 오해

많은 환자들이 마약성 진통제에 대해 중독될까 걱정하여 통증을 참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암성통증을 치료하기 위해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최대 용량의 제한 없이 증량할 수 있으며 중독은 거의 없으니 걱정하지 마십시오. 되도록 통증이 심해지기 전 미리 진통제를 맞고 그 효과를 스스로 판단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